Patrick's 데이터 세상
자바 제공 이항 연산자들 본문
반응형
SMALL
■ 자바의 연산자
연산기호 | 결합방향 | 우선순위 |
[ ], . | → | 1(높음) |
expr++, expr-- | ← | 2 |
++expr. --expr, +expr, -expr, ~, !, (type) | ← | 3 |
*, /, % | → | 4 |
+, - | → | 5 |
<<. >>, >>> | → | 6 |
<, >, <=, >=, instanceof | → | 7 |
==, != | → | 8 |
& | → | 9 |
^ | → | 10 |
| | → | 11 |
&& | → | 12 |
|| | → | 13 |
? expr : expr | ← | 14 |
=, +=, -=, *=, /=, %=, &=, ^=, |=, <<=, >>=, >>>= | ← | 15(낮음) |
동일한 연산자가 하나의 연산식 안에 둘 이상 놓여있을 때, 연산의 순서를 결정짓는 요소가 연산자의 '결합방향'입니다.
■ 대입 연산자(=)와 산술 연산자(+, -, *, /, %)
연산자 | 연산자의 기능 | 결합방향 |
= |
연산자 오른쪽에 있는 값을 연산자 왼쪽에 있는 변수에 대입합니다. |
← |
+ |
두 피연산자의 값을 더합니다. |
→ |
- | 왼쪽의 피연산자 값에서 오른쪽의 피연산자 값을 뺍니다. 예) val = 4 - 3; |
→ |
* | 두 피연산자의 값을 곱합니다. 예) val = 4 * 3; |
→ |
/ | 왼쪽의 피연산자 값을 오른쪽의 피연산자 값으로 나눕니다. 예) val = 7 / 3; |
→ |
% | 왼쪽의 피연산자 값을 오른쪽의 피연산자 값으로 나눴을 때 얻게 되는 나머지를 반환합니다. 예) val = 7 % 3 |
→ |
■ 관계 연산자 (<, >, <=, >=, ==, !=)
연산자 | 연산자의 기능 | 결합방향 |
< | 예) n1 < n2 n1이 n2보다 작은가? |
→ |
> | 예) n1 > m2 n1이 n2보다 큰가? |
→ |
<= | 예) n1 <= m2 n1이 n2보다 같거나 작은가? |
→ |
>= | 예) n1 >= m2 n1이 n2보다 같거나 큰가? |
→ |
== | 예) n1 == m2 n1이 n2가 같은가? |
→ |
!= | 예) n1 != m2 n1이 n2가 다른가? |
→ |
■ 논리 연산자(&&, ||, !)
연산자 | 연산자의 기능 | 결합방향 |
&& | 예) A && B A와 B 모두 true이면 연산결과는 true(논리 AND) |
→ |
|| | 예) A || B A와 B 둘 중 하나라도 true이면 연산결과는 true (논리 OR) |
→ |
! | 예) !A 연산결과는 A가 true이면 false, A가 false이면 true (논리 NOT) |
← |
피 연산자 1(OP1) |
피 연산자 2(OP2) |
연산결과(OP1 && OP2) |
true |
true |
true |
true |
false |
false |
false |
true |
false |
false |
false |
false |
피 연산자 1(OP1) |
피 연산자 2(OP2) |
연산결과(OP1 || OP2) |
true |
true |
true |
true |
false |
true |
false |
true |
true |
false |
false |
false |
피 연산자(OP) |
연산결과(!OP) |
true |
false |
false |
true |
자바 제공 이항 연산자들
반응형
LIST
'Programming >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if, else (0) | 2020.06.21 |
---|---|
자바 제공 단항 연산자들 (0) | 2020.06.21 |
변수의 이해와 활용 (0) | 2020.06.21 |
자바 프로그램의 관찰과 응용 (0) | 2020.06.21 |
자바 프로그램의 실행 원리 (0) | 2020.06.21 |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