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Programming (117)
Patrick's 데이터 세상

목록형 씬 다수의 데이터 출력 테이블 뷰 구조 테이블 뷰 클래스 : UITableView 스크롤 뷰 상속 셀을 기반으로 다수의 컨텐츠 출력 테이블 뷰 구조 셀 섹션, 섹션 헤더/푸터 테이블 뷰 헤더/푸터 테이블 뷰 속성 셀 생성 방식 : 정적, 동적 셀 구분선 셀 선택 인덱스 테이블 뷰 스타일 : Plain Style, Grouped Style 테이블 뷰 데이터 소스 컨텐츠에 대한 정보 제공 섹션과 셀 개수 셀 제공 테이블 뷰 데이터 소스 연결 셀 위치 정보 IndexPath 위치 정보 타입 : Index 위치 정보 얻기(섹션, 로우) var section: Int { get } var row: Int { get } 위치 정보 생성 let indexPath = IndexPath(row: 1, sectio..
파일 관련 명령어 ▣ cat 텍스트 파일의 내용을 화면에 출력 ex) cat text.txt ▣ more 긴 텍스트 파일의 내용을 한 화면씩 잘라서 출력 ex) more install.log 스크롤 키 동작 Spacebar 한 화면씩 앞으로 이동 Enter 한 줄씩 이동 b 한 화면씩 뒤로 이동(back) h 도움말 출력 /문자 패턴에 맞는 파일을 검색해 이동 n 검색된 패턴과 맞는 다음 문자열로 이동 q 현재 화면에서 탈출 ▣ head
디스크 관련 명령 ▣ df (Disk Free) 파티션별 용량 체크, 지정한 파일이 있는 파일 시스템의 사용 가능한 디스크 공간 정보를 보여줌. ex) df -h (기가로 알려줌 ) df -k (바이트 그대로 알려줌 ) 옵션 옵션 내용 -a 파일 시스템의 크기나 0인 것도 모두 보여준다. -i 블록 사용 정보 대신에 i-node 사용정보를 보여준다. -k 보여주는 숫자들의 단위를 512Byte 블록 단위 대신 1KB 단위로 보여준다. -P POSIX에서 사용되는 형태로 보여준다. -T 각 파일 시스템의 형태를 보여준다. -help 도움말을 보여준다. -V 버전 정보를 보여준다. 디스크 관련 명령 ▣ 파일 경로 찾기 whereis ▣ 파일 삭제(디렉토리 삭제) rm -rf 파일명 ▣ 파일 복사 cp -R(..
디렉터리 / 파일 생성 ▣ mkdir 디렉토리 생성(폴더 생성) ex) mkdir test ▣ touch 빈 파일 생성 / 최종 수정시간 변경 ex) touch demo.text ▣ cat 파일의 내용을 화면에 출력 ex) cat demo.text
리눅스를 비롯한 유닉스 계열 운영체제에서 많이 사용하는 텍스트 파일 편집 프로그램입니다. vi 편집기의 운영모드 1. 명령어 모드 소개 명령어 모드는 vi 편집기에 기본 모드입니다. 이 모드에서는 글자를 지우고, 바꾸고, 복사하고 이동 등을 할 수 있습니다. 또한 커서의 위치, 문자열 검색, vi편집기를 빠져나가는 작업을 할 수 있습니다. 2. 편집 모드 소개 편집 모드는 사용자가 실제로 키보드로 입력한 텍스트가 파일로 들어갑니다. 편집모드는 다음 중 하나의 명령어를 입력할 수 있습니다. i – 커서 앞에 텍스트 입력 o - 커서 아래 한 줄의 빈 공간을 만들어 입력 a – 커서위에 텍스트를 입력 3. 마지막 줄 모드 소개 마지막 줄 모드는 더 나은 편집 명령어를 사용하게 합니다. 마지막 줄 모드에 접근..

특정 파일이나 디렉터리에 대해 읽기, 기록하기, 삭제하기 등 권한을 설정해 놓은 것입니다. 퍼미션 특징 퍼미션 의미 파일 디렉터리 r 읽기(read) 권한 파일 읽기 디렉터리의 내용을 볼 수 있음 w 쓰기(write) 권한 파일 저장, 삭제 디렉터리에 파일저장, 디렉터리 이름 변경, 삭제 가능 x 실행(execution) 권한 파일 실행 디렉터리에 접근 할 수 있음 s SetUID, SetGID 권한 파일 소유자, 그룹 소유자의 권한으로 실행 t Sticky Bit 권한 공유 디렉터리로 사용됨 실제 퍼미션의 확인 > ls -l 각각의 파일은 총 7가지의 속정을 가지게 되는데 각 부분의 의미하는 바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파일 퍼미션 : 접근 권한 명시 2. 링크 카운터 : 해당하는 데이터블록에 연결되어..